카테고리 없음

통합접지와 공통접지, 개별접지 차이점

주만전기 2021. 9. 30. 22:03

 

접지방식은 현장 설계자의 의도 명확하게 파악하여 시공하시기 바랍니다.

--통합접지 시공 조건은: KS C IEC 62305-3의 5.4에 의거 10Ω이하 입니다.

 

 

통신케이블 쉴드 접지(SG)는 별도의 절연애자를 사용하여 공통접지 부스바와 이격시켜 고정 설치하고 
 그 부스바는 접지봉을 추가 매설하고, 전기적 독립 접지극으로 개별(단독)접지를 행합니다.

IE: DC라인에 노이즈 抑制(억제)할 主目的이고  PE: AC라인에 기기와 인체의 안전을 主目的합니다

 

1.인버터 노이즈 방출.터 노이즈 필터 설치:

 

 

 

2.서보 노이즈 방출.

-----------------------------------------------------------------------------

단독접지(개별접지):

 기능성 접지 부스바 와 보호성 접지 부스바 . 器機에 機能性 接地線 과 保護性 接地線 各各 結束.


전기설비 기술기준의 판단 기준 제18조 6항이 --> 2021년 1월 1일 기술 기준으로 재정 됩니다.:

공통접지:
특,고,저압의 전로(電路)에 시공한 접지극 하나 접지전극에 연결하여 등전위화 하는 내용입니다.

통합접지:
수도관, 철골, PLANT, 피뢰설비, 통신, 건물 내의 사람이 접촉할 수 있는 모든 도전부(導電部)등을 모두함께 통합접지하여

그들 도체간전위차없도록 함으로써 감전 최소화 하는 내용입니다.

 

--☞공용접지의 주의 사항:

     접지를 공용하고 있는 설비중에서 접지선에 누설전류가 발생하면:

     접지선마다 다소간 선로 저항차이로 저마다 전위차가 모든 설비에서 있게됩니다.

     계기의 소손,오차,노이즈등이 발생합니다.

--☞공용접지의 주의 사항:

     접지를 공용하고 있는 설비중에서 접지선에 누설전류가 발생하면:

     접지선마다 다소간 선로 저항차이로 저마다 전위차가 모든 설비에서 있게됩니다.

     계기의 소손,오차,노이즈등이 발생합니다.

接地抵抗(접지저항):
접지전극에 접지전류(I)가 유입되면
접지전극의 전위는 접지전류가 흐르기 비교해서 E[V]만큼의 전위상승이 일어나는데
이때 E/I[Ω]을 接地抵抗이라 합니다.
接地抵抗은 접지선과 접지전극의 자체저항 그리고
접지전극의 표면과 흙 사이의 접촉저항 및 전극 주위 대지저항의 합을 말합니다.
接地抵抗의 주된 요소는 전극을 둘러싼 대지에 나타나는 저항입니다.

-☞모터코일에 절연이 낮아지면 누설전류로 인하여 그 주위에서는 대지와 전위상승이 일어날 수 도 있습니다.

 

TRAY 접지

전선의 유도성 노이즈 억제를 위한 Tray에도 접지를 합니다.

 

1.공통통합접지 정의 - 한국전기안전공사 --☞첨부파일(1)에 있습니다.

2021년부터는 KS C-IEC 기준으로 접지의 설계가 법제화 됩니다.
기존에 개별접지의 경우는:
대지저항률 또는 안전전압의 결과에 무관하게 기준 접지저항을 만족하는지 여부가 설계의 기준이 되지만,
공통(통합) 접지의 경우는:
접지저항 값의 기준 보다는, 안전전압과 사고전압 의 관계에서
안전전압이 사고전압 보다 크게 설계 및 시공 하는 취지가 되겠습니다...

-------------------------------------------------------------------------------------------

 

질문-1) 접지 부스바를 PE와 IE로 구분 설치해야 하는 이유

답변)

- PE와 IE는: 아날로그노이즈 와 디지털노이즈를 접지라인을 통하여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별하여 분리하기 위함입니다.

- 노이즈에도 레벨이 존재합니다. 전기접지와 통신접지는 분리(分離) 설치합니다.

- 고압쪽에서 낮은 4~20ma쪽으로 흐르는 노이즈를 억제(抑制)할 主目的입니다.

PE: 외함접지,철골,프레임접지등 AC라인으로 부터 인체의 感電및 器機 안전(安全)을 위함이고,

IE: 통신케이블의 실드 접지등 DC라인 부터 신호선에 실리는 노이즈 억제및차폐하여 計器의 안정(安定)을 위함입니다.

 

 

질문-2)인버터 모터선을 실드선을 사용 하는게 좋습니까. 노이즈가 발생 해서요..

답변)
-인버터 동력선에는 실드선을 사용하면
 실드선을 타고 통신선로에 노이즈를 유발 시켜 통신 장해를 일으킬 수 도 있습니다.

 모터 프레임은 FG接地를 합니다.

-서보 동력선에는 실드 케이블을 사용 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실드 케이블은 제3종 SG接地를 합니다.


⊙ 대용량 인버터,서보 모터인 경우는

    1차측에는 노이즈 필터를, 2차측에는 리엑터 설치를 권장합니다.

 

 

질문-4)접지설비 중 전기실 접지단자함에서 1종접지와 2종접지를 묶는(common) 이유:

답변)현재까지는 제1,2종 접지는 전기설비 기술 기준 제19조에 의거 개별접지 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단자함까지는 개별접지를 시공하고, 단자함내에서 공결(共結)시키는 것으로 되어있습니다.

       단,--☞2021년 1월 1일부터는 기술 기준 재정으로서 개별접지를 통합접지로 할 수 도 있습니다.

 

 

질문-5)1종접지와 3종접지 차이점을 그림으로 좀~ ?

답변)

특고압변압기 에는:
외함접지 저항값은 1종접지로 10옴이하. 변압기 중성점은 2종접지로 5옴이하. 3종접지는 100옴이하 입니다.

변압기 2종접지:
비 접지 방식 보다 중성점 접지 방식의 것이 지락 전류가 많아 보이지만,
중성점 접지 방식에서는 중성 저 저항 접지, 비 접지 방식에 비해 지락 전류가 큽니다.
사람이 감전 된 경우 인체에 흐르는 전류는 비 접지 방식에 비해 증가 합니다.
그러나 고, 저압 혼촉 시 저압 측의 전위 상승은
광범위한 절연 파괴에의한 화재나 감전,주변지역 까지도 정전을 확대 시키기도 합니다.
따라서 2차측에서 저압 변압기는 일반적으로 중성점 접지 방식을 채택 하고 있습니다.

 

-변압기의 대수가 여러대 일때 변압기 중성점의 접지는: 주접지 단자대와 개별로 접속합니다.
    연접접속(변압기가 여러대 일 조건)을 하는 경우,
1.변압기별 누설전류의 관리가 어렵고,
2.특고압과 저압측의 혼촉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접지선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3상 4선식 특고 변압기의 Y결선된 중성선 접지선은 한전측 중성선과 계통접지를 할 수 도 있습니다. 

  --☞ 선박접지:압기를 Y결선된 중성선 접지선을 저항 또는 리액터를 통하는 비접지 방식,또는

                        절연변압기를 사용하며,특수 목적선박(目的船舶)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의 접지 할 극은 선체에 직접 접속하여 등전위화(化) 共通接地를 行합니다

 

 

질문-6) 자가 수전설비 용량이 22.9KV, 1500KW,수배설비에 대한 피뢰기 접지 굵기 산정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6600V 피뢰기를 옥내설치 경우는 1개당 14㎟리드선 접속.

 

답변)KS C IEC 60364-5-54(건축전기설비)에 의거

22.9kv계통 피뢰기 접지선 굵기 선정 식: S=√IS2 x T/K

S=접지선 굵기
IS=고장전류.(IS x 2배)
T=고장계속시간(22kv계통:1.1)
K=22.9KV용 피뢰기의 절연도체값:284. *KSC(한국공업 규격 값).

한국전기기술기준위원회 기술 지침 KECG 9102-2015따라서

22.9KV, 1500KW 자가 수전설비의 피뢰기 접지도굵기는 50㎟이상을 설치합니다.

-☞피뢰기의 접지도선에 관한 내용이 일부 재정되였습니다.(전기안전공사 자료실을 참조하십시요)

 

 

질문-7) 특3종접지는 1종접지 저항값과 같은데 통합접지해도 되나요?

​답변)
1종접지는 특고압이나 피뢰설비의 접지에 시공하고,
특별 제3종 접지공사는 400V를 넘는 저압 기계기구의 외함단자에,그리고 접지저항 10Ω 이하로 시공합니다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18조에 의하면 저압 접지극이:
"고압이나 특고압접지극의 접지저항 형성영역에 포함되어 있다면 통합접지를 하여야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때는 과전압보호장치 또는 SPD를 설치하여야 한다라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질문-8)낙뢰시 3종 접지 영향?

답변)종별(種別)과는 상관없이 낙뢰의 피해는 전종별(全種別)에서 영향을 받게 되는데,

특히, 특3종 접지에서 태양광 송전 설비, 사내 전산시스템 또는 PC소손, HMI 통신 또는 PLC 에러, 프로그램 오류등등

기기에 직,간접 통신장해를 받게됩니다.

**장비를 접지하더라도 낙뢰로 인한 피해는 완전차단 할 수 없습니다.

   한전(韓電)선로에 낙뢰맞아 선로를 타고 **장비가 소손된 경우도 발생합니다.

   특3종 접지를 한다고해서 직,간접 낙뇌 써지전압까지 완전차단 할 수는 없습니다.

   -☞낙뇌피해 억제 대책으로는 **장비分電盤에 써지차단기능을 가진 SPD를 별도 설치를 권합니다.

 

질문-9)

건축물의 각 세대에 메인차단기가 50A로 설계 되어있습니다.
KS C IEC 60364-5-54의 내용을 사료하면 통합접지로 시공 했을 때를 전제한 판단으로는
상도체와 같은 굵기의 접지선을 사용해야 한다고 봅니다.

각 세대를 6SQ로 포설하라고 하면 접지선도 6SQ로 같이해야 하는건지.
내선규정에는 메인차단기 50A까지는 2.5SQ로 사용 할 수 있는데요..?

답변)
1,KS C IEC 60364-5-54 표 54F는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19조 표 19-3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건축물의 각 세대에 메인차단기 접지선 굵기의 조건은
  판단기준 19조 ⑤항에 판단기준 제18조 제6항, 7항 및 제22조 2에 따라

  접지공사를 하는 보호도체 단면적을 정 한 것으로서
  판단기준 제18조 제6항 7항에 의한 접지조건은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하시기 바랍니다.

  내선규정에 의한 접지선 단면적은 판단기준 제19조 표 19-1을 근거로 하신 것으로 사료됩니다.
  판단기준 제18조 ①항에서 정한 접지저항값으로 ①항의 예외로하는 경우에는
  접지방식은 현장 설계자의 의도 명확하게 파악하여 시공하시기 바랍니다.

 

2,참고로 건축물의 각 세대별 통합접지 시설에 전등,전열회로 접지선 굵기는 2.5SQ 사용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한전규정 전선굵기 차단기 설정

질문-10) 중성선(N선) 굵기 질문 좀 드려요..
380V에 125[A]정도 먹는 설비가 있는데, 단상히터 1개당 60[A]짜리 2개 들어가서 120[A]정도이고,
N선이 5[A] 정도 먹는데요,, N선은 좀 얇아도 되지않을까 고견 부탁드립니다.

 

답변)

(1) 3상 4선식 차단기 選定:

 

(2) 3상 3선식 차단기단상 2선식 차단기 選定:


(1) N상(중성선)의 전선굵기는 원칙적으로 L1,L2,L3선하고 같은 굵기입니다.
    한전 규정 전선굵기와 차단기 설정 표에 의거해서
단상히터가 380V이면
    차단기 용량 선정은 3상 4선식 150[A]이며 중성선은 같은 굵기입니다.

(2) 단상히터가 220V 사용 하는 경우의 N상(중성선)의 전선의 굵기는:
   전류값을 후크메타로 실측 하여서 선정합니다.
   부하의 평형상태와 불평형상태에서 피크치 전류값을 기준합니다.
  또는,후크메타로 실측 해볼수 없는 경우는 부하의 용량[W]를 아셔야 됩니다.

  한전 규정 전선굵기와 차단기 설정 표에 의거해서
  -차단기 용량 선정은 그 전류값에 차단기를 x1.5배[A] 용량으로 각각 설치합니다.
   예를들어 부하 전류가 실측으로 60A 가 나왔으면 간선차단기는 2P 75[A]로 선정(選正)합니다.
 -전선의 굵기 설정은:
  그 차단기 용량에 x1.25배[A]보다 굵은 "35 SQ 이상" 전선으로 각각
설정(設定)합니다.

 

 

질문-11)가끔 출장 가다보면 공장마다 전기상태가 제각각인데요.
사무실에선 PLC와 노트북이 연결이 잘 되다가.. 꼭 현장가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 접속이 안되거나,
노트북으로 노이즈 넘어옴...그래서 이 같은 경우에는 분전함에서 넘어온 접지를 판넬에서 빼면 7~80프로는 해결되더라고요.

답변)

​먼저 기호의 의미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N은: 3상 4선식 배선의 중성선입니다.
       전원 변압기에 고장 시 이상 전압 방지와 정상 시의 배선 대지(對地)전압을 안정시킬 목적으로 접지합니다.

PE는: 전기 사용 기기의 케이스를 접지하는 보호 접지입니다.

PEN는: 전기 사용 기기가 누전되었을 경우에 케이스에 나타나는 전압을 접지하여 감전등을 막는

           보호접지(PE)와 중성선(N)을 1개의 선으로 결속한 것입니다.

​           중성점에 흐르는 하모닉 전류로서 부하측 불안정 때문에 TN-C 방식은 국내의 일부 지역에서 실시되고 있습니다.


장점으로는 PE선을 배선하거나 전기사용 기기마다 접지극을 설치하지 않아 전기 공사 비용을 절감 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PEN선이 단선되거나 단자부에서 접촉불량을 일으킨 경우에
전기사용기기 케이스의 대지전압이 상승하여 케이스에 닿은 사람이 감전될 위험성이 있습니다.
또 단선이나 접촉불량시 이외에서는 부하전류의 3상 밸런스가 무너져
PEN선의 전류가 커진 경우에도

전기사용기기의 케이스대지전압이 상승하여 케이스에 닿은 사람이 감전될 위험성이 있습니다.
또한 기기 내부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하여 케이스 표면에 위험한 전압(일명:보폭전압)이 나타나도
배선 도중에 설치한 누전차단기에서는 보호할 수 없습니다.
습기, 물기가 많은 장소나 사람이 접촉하는 일이 많은 전기 사용 기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전기설비관계자 이외의 사람이 만질 우려가 없는 대용량 전기로,발전소등 일부에서는

   TN-C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접지 저항값이 약10옴 보다 높게 나오는 FA현장에서는 노이즈등의 영향으로 계기의 오작동이 발생 될 수 도 있습니다.

 

 

  TT 방식은 국내 전역에서 표준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방식입니다.


전기사용기기의 케이스보호접지는 기기마다 단독으로 접지극을 매설하여
접속하거나 N선과 혼촉되지 않는 독립된 PE선을 배선하여 각 기기의 케이스를 접속합니다.
장점은 전원선(L), 중성선(N)의 일부가 단선되거나 삼상 밸런스가 극단적으로 무너지거나
이상전압을 발생시켜도 전기사용기기 케이스의 대지전압은 거의 상승하지 않으므로
TN-C방식보다 감전재해나 누전화재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습니다.
기기 내부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경우의 사고전류는 전원선(L), 중성선(N)으로 환류되지 않고
PE선으로 흐르므로 배선 도중에 설치한 누전차단기로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습니다.
습기, 물기가 많은 장소나 사람이 접촉하는 기기에 적합한 방식입니다.
단점은 PE선을 판넬내부로 배선하고 접지부스바를 설치하므로 비용이 추가됩니다.

 

상도체 보호도체 공통접지공사

 

질문-12) 특고 변압기 2차측 중성점(N상) 접지를 하는 목적과 특고 변압기 2차측 중성점(N상) 접지를 하는 목적?

답변)

​1)중성점(N) 접지 목적:
  -고장시에는 보호계전기를 확실하게 동작시켜 고장선로를 선택 차단하며,

  -지락시에는 아크(Arc)전류를 신속히 소멸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중성점 접지를 하고 있습니다.
2)중성점(N) 비접지 목적:
  중성점을 접지 하지않는 방식으로 절연변압기와 인체에 접촉에 감전의 위험이 없는

  변압 기기(器機), 기계 기기(氣機)는 비접지를 할 수 도 있습니다.

 

=========================================================================

피뢰침의 설치에 관한 기술상의 지침 1993. 6.19 노동부고시:

고 시 명 : 피뢰침의설치에관한기술상의지침
고시번호 : 고시 제2001-4호
고시일자 : 2001년 01월 09일
제정 1993. 6.19 노동부고시 제1993-21호
개정 2001. 1. 9 노동부고시 제2001- 4호
제1조(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7조의 규정에 의하여 화약류 또는 위험물을

저장하거나 취급하는 시설물에 설치하는 피뢰침에 관하여 사업주에게 지도.권고할 기술상의 지침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질문-13) MDF통신 개별접지를 피뢰침접지와 통합접지를 하라고, 감리측이 말하는데 그렇게 해도 됩니까?

답변) 피뢰 접지봉과 타 접지봉 과의 이격 거리는 "20m" 이상 입니다.

그러므로 주상 복합 건축물의 환경 또는 조건에 따라서 통합접지를 할 수 밖에 없는 경우에는

상기에 기술한 2가지 조건과 과전압 보호장치 또는 SPD를 설치 하여서,

낙뢰로 인한 대지전위 상승을 억제 또는 차단하십시요.

--☞ 통신접지에 참고 사항입니다.
1.특,고압 자가용 수전설비의 접지시설은 수용장소의 인입구에 설치하여야 합니다.
2.피뢰 접지공사는 지하 75cm이상의 깊이에 피뢰 접지봉을 묻고 접지선을 연결하여 낙뢰용 피뢰기에 접속합니다.
3.낙뢰용 피뢰기의 접지저항값은 10옴이하가 되어야 합니다.
4.[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의한 전력계통에서 종별접지와 IEC 기준에 의한
통합접지는:

   전기설비 및 인체에 대한 감전보호 개념이 상이하므로,

   하나의 전력계통에서 종별접지와 통합접지를 혼용할 수 없습니다만,통합접지는

   판단기준 제18조 제7항에 따라 시설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통합접지와 단독접지의 혼용에 대한
   적합성 여부는 감리측 설계자 의도를 사료하셔야 합니다.

5.IEC 기준에 의한 접지시스템의 설치 분류에는:

  단독접지, 공통접지, 통합접지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PD(Surge Protection Device) 선정과 설치 위치

중성선에 접지를 해서는 안되는 조건​

종별 접지간,단독접지 이격거리

​통합접지 공통접지 단독접지 쉴드케이블의 쉴드접지 문의

​ac접지와 dc접지 차이점

------------------------------------------------

e-mail: mojonggun@gmail.com

M.P)010-3848-1181

         010-7922-8282 (친구둘이-빨리빨리)

Fax) 051-522-5080